반응형

2022/05/03 3

내진 등급 및 성능 수준

KDS 17 10 00 내진 설계 자료로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1. 내진등급 (1) 시설물의 내진등급은 중요도에 따라서 내진 특등급, 내진Ⅰ등급, 내진Ⅱ등급으로 분류한다. (2) 내진특등급은 지진 시 매우 큰 재난이 발생하거나, 기능이 마비된다면 사회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의 등급을 의미한다. (3) 내진Ⅰ등급은 지진 시 큰 재난이 발생하거나, 기능이 마비된다면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의 등급을 의미한다. (4) 내진Ⅱ등급은 지진 시 재난이 크지 않거나, 기능이 마비되어도 사회적으로 영향이 크지 않은 시설의 등급을 의미한다. (5) 시설물의 구체적인 내진등급 분류 기준은 4.3의 기본개념에 따라 해당 시설물의 내진설계기준에서 정의한다. 2. 내진성능수준 (1) 시설물..

학습자료 2022.05.03

지진 해석모델과 해석방법

KDS 17 10 00에 따른 내진설계 자료로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지진해석 모델 (1) 설계 지반 운동 ① 지진해석을 위한 설계 지반 운동은 4.2.1에 따른다. ② 수평 2축 운동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수직운동의 영향을 반영한다. ③ 국지적인 토질 조건과 지질, 지형조건이 지반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다. ④ Sg지반 상에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부지특성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해당 부지에 적합한 설계 지반 운동을 결정하여야 한다. (2) 하중에 대한 고려사항 ① 지진하중은 구조물에 영향이 큰 다른 하중과 조합하여 사용하며, 구체적인 하중 조합은 시설물 내진설계기준에서 규정한다. ② 지진응답 해석 시에는 필요에 따라 토압, 유체압 등의 영향도 반영한다. (3) 해석 모델에 ..

학습자료 2022.05.03

내진설계의 목적 및 용어

KDS 17 00 00 내진설계기준입니다.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내진설계 목적 (1) 이 기준은 지진으로 인한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및 기간시설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이 기준은 제(1) 항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체계적인 내진성능기준을 제시하고, 시설물의 내진설계기준에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내진설계의 기본적인 요건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내진 용어의 정리 ∙ 감쇠(damping): 점성, 소성 또는 마찰에 의해 구조물에 입력된 동적 에너지가 소산 되어 구조물의 진동이 감소하는 현상 ∙ 감쇠 시스템(damping system): 구조물의 감쇠 능력을 증가시켜 내진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장치의 조합 ∙ 기반암(bed rock): 연암층, 퇴적층 또는 토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학습자료 2022.05.03
반응형